온도 습도 센서 원리의 종류
< 간단한 습도의 정의 >
수증기압과 온도가 높아지면 포화 수증기압은 높아집니다.
절대습도는 공기 1m 3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g으로 나타낸 것으로
기온에 따라 수증기가 포함될 수 있는 최대값이 정해져 있으며,
그 값은 기온이 높으면 커지고 낮으면 작아집니다.
일반적으로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절대습도가 높고,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낮습니다.
상대습도, 이슬점 (노점)은 포화 수증기량의 비를 %로 나타낸 것입니다.
상대습도 100%라고 한다면, 현재 온도의 포화수증기량과 같다는 뜻입니다.
공기를 서서히 냉각시켜 어떤 온도에 다다르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이슬이 생깁니다.
그때 온도를 이슬점 또는 노점이라고 합니다.
습공기선도 입니다.
건구온도와 상대습도를 알 때 노점온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< 습도계 종류 >
*모발 습도계
-습도의 반응에 따라 모발의 신축성에 의해 길이가 변하는 현상
-응답시간이 빠르고, 실온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짐
-구조가 간단하며, 사용하기 쉬우나 정밀도가 많이 떨어짐
< 전자식 습도센서 >
< 습도센서의 종류 >
1. 전기저항식
- 염화리튬
- 고분자
- 세라믹
장점 : 대량생산에 용이, 정밀측정 가능
단점: 온도보정이 필요, 저습측정에 어려움, 15% RH 한계
2. 정전용량식
- 고분자
장점: 저습에서 감지(0% RH), 온도보정이 필요 없음, 박막구조로 되어 있어 저항식보다 응답이 빠름
단점: 대량 제조 어려움, 약간의 용량 변화로 오차가 커짐, 센서 부분 관리 필요성
< 습도센서의 종류 >
* 정전용량센서 (capacitive sensor)
작동전류는 AC이며, 축전식 cpactior, 직류 저항은 매우 높고, AC저항은 센서 출력입니다.
*저항센서 ( resistive sensor)
작동전류 DC이며, 저항 resistor, 직류와 교류저항력은 같고, 직류 저항은 센서 출력입니다.
정전용량식 습도센서는 정밀 상대습도를 사용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.
정전용량식 습도센서는 센서와 물과 수증기가 흡수되면 정전 용량 값 (PF)에 따라 상대습도로 환산하여 사용합니다.
습도센서는 상온에서 보관해 두어도 차츰차츰 값이 달라지는 형상을 보입니다.
그러므로 주기별로 교정 점검을 받아서 정확한 값을 표현 사용하시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.
표를 보시고 사용 범위에 맞게 교정주기를 관리하시면 됩니다.
'기술 자료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CHISCHEK 방폭 ATEX 정보, 지침, 규정 (4) | 2025.03.20 |
---|---|
양압, 음압, 디지털 차압계를 이용한 병원압력관리 (9) | 2025.03.19 |
오토클레이브 멸균 공정 (autoclave) (8) | 2025.03.18 |
제약 분야 온습도 기록계 관리 데이터로거 (0) | 2025.03.18 |
크린룸 설계 기본원칙과 고려사항 (6) | 2025.03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