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기술 자료실

크린룸 설계 기본원칙과 고려사항

by 엠지코리아 2025. 3. 17.

 

오늘 알아볼 내용은 크린룸을 설계할 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과 주의사항입니다.

크린룸은 지난번 글 올렸을 때 용도에 따라 구분된다고 말씀드렸죠? 

 

< 크린룸 설계시 조사할 내용 > 

 

1) 실내 요구 청정도 (class 100000 ~ class 1 ) 

 

2) 필요한 청정실의 크기 

 

3) 실재 재실자수 

 

4) 작업조건 및 작업내용 

 

5) 실내온습도 유지조건 및 편차범위 규정 

 

6) 각종 장비의 발열량, 배기량, 배기방식 및 전기사용량 

 

7) 순수, 압축공기, 약물 등의 유틸리티 요구사항

 

8) 실내 조명 계획

 

9) 크린룸 및 장비의 가동시간

 

10) 기타 실내 발생 열원 

 

 

< 크린룸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 > 

 

1) 송풍계동에 큰 정압이 소요되므로 송풍기와 덕트 설계 시 유의해야 합니다.

 

2) 냉방부하가 일반 건물에 비해 5~10배에 달하며 특히 24시간 운전 시 전력소비가 크므로 유의해야 합니다.

 

3) 청정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기류가 흐르도록 실내를 양압으로 유지하고 

룸 (room) 간에 0.5~1.5mmH20의 압력차 (차압)을 두어야 합니다.

(적절한 차압이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차압센서가 필요합니다. 휴대용 또는 설치형으로 가능하며, 

자세한 내용은 (압력) 카테고리에서 추가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.)

 

4) 룸 (room)은 열부하 변동이 큰 외벽, 지붕 등에 접히지 않도록 배치해야 합니다.

 

5) 정밀기기 설치 시 진동방지에 유의해야 합니다.

 

6) 내부 마감재는 내마모성이 있고 분진의 흡착이 적은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.

 

7) 2중 바닥 및 천정 챔버를 위한 충분한 층고를 확보해야 합니다. 

 

8) 분진의 퇴적을 방지하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합니다.

 

9) 배관의 누수 등으로 인한 시스템 정지 발생을 막기위해 Back-up을 고려해야 합니다.

 

10) Duct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Caulking 처리를 해야 합니다.

 

11) 중앙집중방식의 진공청소  설비를 설치하며, 배관을 청소지역의 중심부로 하고

이물질이 정체되지 않는 구조여야 합니다.

 

 

< 크린룸의 설계순서 >

 

1) 크린룸의 청정도를 설정 

 

2) 공조 방식 결정 

 

3) 기류의 방식, 각 계통의 공기 청정장치 등 공기 정화 방식 결정 

 

4) 부하 계산, 송풍량, 외기도입량과 공조기 Coil 송풍기 선정, 소음등을 결정하고

외기 입자 농도의 실내 먼지 발생량 확인 

 

5) Pre-filter, 중간 filter, 최종필터의 종류 및 포집률 설정 

 

6) 정상상태의 실내 부유미립자 농도 계산 

 

7) 계산된 실내 부유 미립자를 검토하여 설정 허용농도와 비교하고, 사용할 필터가 확정될 때까지 반복계산 

 

8) 초기 투자기, 운전비 등의 경제성 및 보수의 난이도 평가하여 문제점 발생되면 공조방식부터 재검토, 다시 설정합니다.